짧은지식
8 posts
Network Layer (3계층)

😎 컴퓨터네트워크 3계층이란?? network Layer의 주된 역할은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것입니다. 2계층인 Link layer 까지는 물리적으로 어느정도 인접한 상태를 고려했다면 이제는 전혀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고려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2가지입니다. 해당 계층 “내부”에서의 패킷의 흐름 (data plane) 해당 source -> destination 으로 흐르는 길을 찾기 (control plane) Routing protocol Routing Protocol이란 Routing을 정하는 방식들을 의미합니다. 크게 두가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Link State 모든 라우터들이 다른 링크들에 대한 “모든” Cost를 알고 있는 경우 입니다. 이 방식에서는 모든 노드에 대한 Link Cost를 알고 있기 때문에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전체 공유!!) image TSP를 떠올리면 쉽습니다. 위는 다익스트라자에서 길을 찾는 방법이…

October 17, 2022
짧은지식
Link layer

😎 컴퓨터네트워크 2계층이란?? Link layer로 불리며 인접한 노드 끼리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관리합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잇는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합니다. image node는 모든 통신에 관련된 entity를 의미합니다. 각 노드간의 연결은 Link를 통해서 연결이 되어 있으며 이 Link의 종류는 총 3가지가 있습니다. wired Links wirless Links LANs 데이터 링크 계층은 2개의 부계층으로 구성됩니다. LLC 와 MAC입니다. LLC는 논리적인 부분으로 네트워크 계층과 연결되며 Frame을 만드는것에 기여합니다 MAC 은 물리적인 부분으로 1계층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data-link layer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node에 전송할 데이터의 frame을 만듭니다 직접 전송은 1계층에서 관리하며 어떻게 보내는지는 관심이 없습니다 image framing, Link access framing : 3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를 2계층에서 보낼 …

October 12, 2022
짧은지식
릴케가 말하는 진정한 사랑과 소유

서론 폴더 정리를 하던 도중에 저번 학기에 작성한 레포트가 있어서, 이대로 없어지기보단 인터넷 어딘가에 떠도는게 아무래도 좋지 않을까 싶어 남겨봅니다. 레포트의 일부를 가져왔습니다. Maria Rilke 처음 듣자마자 꽤나 익숙한 이름이라고 생각이 들었을지도 모릅니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 가 바로 우리가 타자연습을 치면서 스쳐 지나간 그 이름이며 이 글의 주인공입니다. 프라하 출신으로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활동하며, 여러 시와 명언을 남겨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남긴 시인입니다. 릴케의 여러 시중 지금 제가 맘에드는 시를 옮겼습니다. 천천히 한번 읽고 나머지 글도 천천히 읽어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바쁘시다면 이 시만 읽으셔도 좋습니다. 본문 릴케가 말하고자 하는 진정한 사랑과 소유(‘보다 인간적인 사랑’)에 대한 제가 이해한 바를 적어보려 합니다. 이를 ‘소유하지 않는 사랑’, ‘대상이 없는 사랑’과 함께 설명하겠습니다. 앞서 작성한 대상이 없는 사랑은 매우 모순적…

October 05, 2022
짧은지식
브라우저 렌더링

😎 브라우저란? 브라우저란 동기(Synchronous)적으로 (HTML + CSS), Javascript 언어를 해석하여 내용을 화면에 보여주는 응용 소프트웨어입니다. 브라우저의 주된 기능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서버에 요청하고 브라우저에 표시하는것입니다. 여기서 원하는 정보의 종류는 크게 Html , img, pdf 등입니다. 여기서 정보의 종류 특히나 Html을 구분하는 것은 주소라고 하며, 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이라고 합니다. 브라우저의 종류에는 크롬, 사파리, 파이어폭스 (오픈소스 기반) , 네이버 웨일 등등 다양한 종류의 브라우저가 존재합니다. 최근 유저들의 브라우저 점유율 입니다. 크롬과 사파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것으로 보입니다. 브라우저의 구성요소 브라우저의 여러 구성 요소가 있지만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에 중심이 되는 요소들을 중심으로 작성하겠습니다. 1. User Interface 주소 표시줄 , 이전 앞으로 가기 버튼,…

July 25, 2022
짧은지식
index.js 파일이 읽혀지지 않는경우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오류 상황… [Failed to load module script: Expected a JavaScript module script but the server responded with a MIME type of “text/html”. Strict MIME type checking is enforced for module scripts per HTML spec.] 프로그래머스 과제테스트 중 하나인 쇼핑몰 SPA를 작업하다가 발생한 오류 입니다. 또한 routing 처리가 필요한 과제였으니 ”/” 위치 뿐아닌 “/product/:productID”등 / 를 추가하자마자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처음 이 오류를 마주했을때는 “흠, 뭐 별거 아니겠지~” 라고 생각했지만… 생각보다 많은 시간을 사용한 끝에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해당 문제의 대부분의 해설은 보통 리엑트나 다른 프레임워크에서 어느정도 경로에 대한 자비로운 처리를 통해서 신경 쓰지 않았던 부분에 대한 해설이었습니다. ex) 다…

May 30, 2022
짧은지식
🔎 패턴 매칭 장치 (비결정적)

패턴 매칭 텍스트 스트링에서 원하는 문자 패턴을 찾아 내는 것 패턴 기술 접합(concatenation) 패턴에서 인접해 있는 두 문자가 텍스트에서 나타나면 매치 논리합(or) 두개의 문자 중 하나가 텍스트에 나타나면 매치 폐포(closure) 특정한 문자가 0개 이상 나타나면 매치합니다. 패턴매칭 방법들중 비결정적 알고리즘(Non-deterministic algorithms)을 사용한 방법을 적어보겠습니다. 비결정적 알고리즘이란 알고리즘 분류 방법들 중 결정적 혹은 비결정적 (Deterministic or non-deterministic)에 따라서 분류 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패턴 매칭 장치 - 결정적 장치 결정적 알고리즘(Deterministic algorithms) 각각의 상태가 다음 입력 문자로 인해서 완전하게 결정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계산의 각단계에서 단 한가지의 가능성만을 고려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의미합니다. 결정적 알고리즘에 해당하는 문제들은 동일한 입력에 …

May 29, 2022
짧은지식
📖 유배지에서의 다산(茶山)의 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 다산 정약용은 유형원(柳馨遠) · 이익(李瀷)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후기 경세치용 (經世致用)을 주장하면서 토지개혁과 농민생활의 안정을 꾀한 실용적인 학자였습니다. 다산은 두번의 유배를 떠났는데, 첫 번째 유배는 1789년 가톨릭 교인이라는 공서파의 탄핵을 받아서 海美(해미)에 10일간 유배 갔습니다. 이때 남긴 한시는 없습니다. 두 번째 유배 는 1800년 正祖(정조) 死後(사후), 노론 벽파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노론 벽파는 1801년 2월 천주교도들이 청나라 주문모 신부를 끌어드려 역 모를 꾀했다는 죄명을 내세워 신사사옥을 일으켰습니다. 이 때 매형 이승훈, 둘째형 정약전, 그리 고 셋째 형 정약종 등과 체포되어 2월 27일 경상북도 장기(영일만)로 유배되었습니다. 10월에는 큰 형님 정약현의 큰 사위 곧 다산의 조카사위인 황사영 백서사건으로 인해 서울로 압송된 후 11월에 전라남도 강진으로 이배되었습니다. 그로부터 1…

May 24, 2022
짧은지식
📷 Clustering and Segmentation

Detection and Segmentation Detection은 영상 내부에서 찾고자 하는 요소를 찾을 때 사용하며, Segmentation은 해당 영역을 구분해내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Detection 물체의 위치를 찾습니다. (localization) Sematic Segmentation 화소나 색등 비슷한 요소를 모아서 영역화를 진행합니다. Instance Segmentation 카테고리별로 서로 다른 객체를 찾습니다. 앞선 내용에서 설명하진 않았지만 중요한 내용인 Classification(분류)가 있습니다. 해당 영상에서 대표하는 값을 찾아서 어떤 영상인지 분류합니다. Detection 과 Segmentation 모두 이를 위한 과정입니다. Semantic segmentation vs Instance segmentation 반대로 Instance segmentation은 각 픽셀별로 어떤 카테고리에 속하는지 계산하는 것이 아닌 각 픽셀별로 object가 있는…

May 24, 2022
짧은지식